머니트레이너 김경필작가님이 신사임당에 출연한 영상을 기록한다. 김경필님은 여러 방송에 등장하여 씨드머니를 모을 것을 권하고 있다.

1억 모으기부터 해보라
국민영수증이라는 방송에 출연했을 때의
기억에 남는 영수증 두 가지를 말씀하심.
1) 월급 200만원 300만원을 받는 사람이
한달에 스타벅스 지출을 100만원 한 경우와
2) 한 달 월급 250만원 300만원 버는 사람이
명품이나 고가의 자동차를 산 경우
음...
그동안 코로나 블루에 지쳐있던 사람들이
우울감을 소비로 풀려고 했던 경우이거나
자기 과시성으로 소비하는 경우라고
해석했다.
반면 요즘엔 거지방이 등장해서 화제인데
이 역시 자기 과시성의 다른 면으로
보고 있다.
나
이렇게까지
안쓰고 있드아!!!!!
경쟁적으로 보여주려는 심리가 깔려있지만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힘든 시기에 응원과 격려 받으며
서로 힘내고 용기내는 것 같다고.
인터뷰하는 질문자도
거지방에 들어가보니
정말 안 쓰게 되더라고.
물 한 번 사먹겠다고할 때도
참았다 좀 이따 먹으라고 하더란다.(ㅎㅎ)
이제 김경필님의 메세지 정리 고고.
지금 경기가 안좋다
체감은 뒤에 하게 된다
위기가 어디에서 터질지 모른다
당분간 절약하고 저축하길.
부자되는 길은
엘리베이터가 없다.
기본이 계단이다.
직장생활하면서 왜 우울한가?
희망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비하고.
지금 우울한 이유는
미래를 성장시키는 행동을
안 하니까 그렇다
지금 당장 죽도록 힘들어도
저축을 하면..
어떻게 어떻게 한 달에
150만원씩 저축을 해서
3개월이 되면 450~500돈이 모인다.
이런 돈을 만져본 적 없던 내가
그걸 보면 기분이 좋다.
이게 계속가면 천만원도 되는 거고
모아보면 정말 뿌듯하다
월 300만원 벌면서
부모님과 같이 사는 경우라면
고정비를 아껴서 월급의 60%는
저축하라.
재테크는 소득이 높아지거나
소득의 기간이 길어지는 게
최고의 재테크다.
이게 우리 부의 90%를 결정할 것이다.
나머지가 투자 자산관리 등이다
투자나 이런것도 중요하지만
결정적으로!
여러분이 하고 있는 일이 성장하지 않으면
재테크라는 건 있을 수 없다.
왜?
특별한 일 아니라고?
보잘 것 없는 일이라고?
내가 뭐 한다고 달라지겠어?
이러면서 안한다
주식 창 들여다보는 시간에
자기 업무 자기 일 잘 할 노력을 하라.
수많은 사람 중에서
내가 '잘' 하는 사람이 되어
옮기기를 해야 한다.
40세 되기 전까지는 회사생활을 최선을 다하되
끊임없이 자기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자기 일 성장하는 게 왜 재테크냐고?
투자 성공한 사람들..
내가 그렇게 될 수 있는가?
자산의 성장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시기..
돈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돈을 버는 것이 중요하다.
아끼고 안쓰고 해서 모으는 거다.
직장인 1억 모으기?
왜 1억이냐면
자본소득의 첫번째 단계이기 때문이다.
1억이 왜 중요하냐면...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천만원 이천만원이면 할텐데..
하면서 안하는데
점진적으로 하면 된다
일반 직장인들 분들 5년에 1억 모으기 하려면
한 달 153만원씩 모으면 1억을 모을 수 있다.
이게 부담되면 점진적으로
첫 해에 128만원 해보고
두번째 해에 10%만 더 하는 저축을 하나 더하고
세번째 해에도 그렇게 128000원을 하는 거다.
일단 시작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단 시작할 수 있게.
해보라.
1억 모으면 그 다음 뭐해야 되요?
모으고 나서 물어봐라
하면..
모았다고 가정하고 얘기해 달라고 하는데
1억을 모으다 보면 알게 되기 때문에
일단 모으고 물어보라고 이야기한다.
3년 동안 모아서 차 사려고 보니까
아까워서 차 사고 싶지 않게 된다.
저축하는 사람은 깨달음이 생긴다.
이 돈을 어떻게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저축은 사람을 성장시킨다.
1억으로 할 수 것들?
결혼 할 수 있다
결혼은 경제력이다
청약.
사업.
등
1억모으면 이야기 하라고 하는 이유는
1억 모으다 보면 많은 아이디어가 생긴다
1억 모으면 물어보지 않는다
자기가 할 게 생긴다.
삶은
즐기라고 주어진 것이 아니라
극복하라고 주어진 것이다
- 쇼펜하우어 -
나도 그렇다. 처음엔 한 달 몇 백 벌이로 생활비 나가고 나면 없는데 1억을 어떻게 모으지? 했었다..
그런데 일단 백만원 삼백만원 오백만원.. 천만원.. 모아보니 뿌듯하고 더 모으고 싶어졌다. 그래서 아끼게 되고 덜 쓰게 되더라. 그렇게 중형 자동차 한 대 정도 살 돈을 모았다. 2천만원이 모이면 지금의 내 오래된중고차를 좀 더 나은 중고차로 바꿔야지 했는데 생각이 완전 바뀌었다.
지금의 자동차가 경차라서 여러모로 경제적인 데다 자동차 보험료부터 해서 들어가는 돈이 많다는 것을 알고는 새 자동차를 사게 되면 더 많은 지출이 생길 거라는 걸 알게 되었고 지금 차를 감사하면서 탈 수 있는 한 끝까지 탈 생각이다. (내가 자동차 10대는 살 돈이 모이면 그 때는 한 대 시원하게 바꿀 수도 있겠지만)
힘들지만 돈이 모이는 걸 보면 즐겁다.
당장의 소비가 중요한 게 아니란 것을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깨달아서 다행이고 나는 김경필님의 말이 너무도 공감이 된다.
20대 MZ세대 젊은 친구들 중에서도 벌써부터 짠테크며 거지방이며 허리띠 졸라메며 지금을 견디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젊을 때 깨달았으니 정말 축복이다. 힘들지만 고생의 시간들이 분명 그 대가를 돌려 줄것이니 힘내길!!
지금 여러분이 힘들다면 잘 하고 있는 것이다.
애쓰고 있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니까.
5년 10년 후 안정적으로 살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니까.
-김경필-
'■■■■■ 배움 유튜브 > 돈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이야기만 하면 싸우는 부부 은퇴 후 한 달 생활비 얼마쓰나 (3) | 2023.09.29 |
---|---|
존슨앤드존슨(JNJ)의 자회사 켄뷰 (KVUE)의 기업공개 가격 및 교환 권리 발생 지급 행사에 관한 안내 문자 (2) | 2023.08.12 |
부익부 빈익빈 소비와 저축은 왜 가난한자와 부자가 반대로 하는가? feat 김경필 (월급쟁이 부자들) (1) | 2023.05.25 |
비용 부담스럽지만 여행가고 싶다면 feat 월급쟁이 부자들 (1)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