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27 맥도날드 레이크록의 인간존중 feat 나도 하나 실천하기 맥도날드 창업자 레이크록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인간 존중'이다. 그는 틈이 날 때마다 서로를 존중해야 함께 성공한다고 역설해 왔다. 그의 연설문은 존중에 관한 주제를 담은 경우가 많은데 언듯 보면 그의 햄버거와 존중은 별 관계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전세계 120여개국에서 3만개가 넘는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거대 기업 맥도날드의 성공이 '존중 원칙'이라는 토대에서 움직였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평가한다. 어느 나라에 상륙하든 맥도날드가 가장 신경 쓴 것은 그 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어떻게 맞출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그들은 미국 본사의 맥도날드 맛이 세계 최고이며 맥도날드 맛의 유일한 기준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맛을 느끼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며 그 차이를 존중해야 한다고 일찌감치 원칙.. 2023. 10. 12. 조선미 보상육아 괜찮을까요 보상육아! 안 주면 안 해! 이렇게 되지 않을까요? 엄마가 전적으로 주도권을 쥐고. 하면 된다 아이가 "나 이렇게 할 때도 보상을 줘" 이러면 들어주면 안된다. 이런 갈 안 들어주면 된다. 처음 배우는 행동은 보상을 주는 게 제일 좋다. 어떤 보상을 줄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이와 상의해도 좋으나 어떤 거에 대해서 하거나! 어떤거에 대해서 이만큼 줘! 이런 걸 들어주면 효과가 없다. 보상은!! 안하던 걸 시작할 때 한다. 행동수정 요령은 처음엔 보상 주면서 익숙해지면 보상을 줄인다. 예를 들면 학원을 안 다니던 아이. 학습지를 안 하던 아이. 처음 풀 때 즐겁지 않다. 초반에 입문하게끔 하는 게 스티커고 익숙해지면 사을 빼는 거다. 아이들에게 이 닦으라고 하면 무조건 싫어하는데 이 싫고 귀찮은 걸 부드럽게 시.. 2023. 10. 11. 조선미 아침 밥 먹이기 옷입히기 너무 힘들어요 육아 전쟁 아침마다 육아 전쟁입니다. 아침에 아이 밥 먹이기 너무 힘들어요. 그냥 아이가 좋아하는 걸 먹여라. 왜 꼭 밥을 먹어야 되나? 영양이 골고루 안된다고? 정 걱정이면 아이가 좋아하는 걸 먹이고 영양제 하나 먹여라. 우리나라는 밥이라는 게 혼에 깊이 박혀 있는 것 같다. 옷입히기 제일 힘들어요. 스탑워치 해 놓고 "1분 안에 입기" 해서 상 주고 그러면 계속 빨라진다. 옷 잘입으면 스티커 하나. 스티커를 얼만큼 모으면 어떻게 하기로. 아침 육아 옷입히기일하는 엄마에겐 정말 스트레쓰 엄마가 일을 하는데 아침에 다 챙기려면 정말 힘들다 순서대로 다 할려고 하면 정말 아침이 지옥이다. 중요한 순서먼저 하는거다. 옷 입고 나가야 되는데 나중에ibiliebook.tistory.com 아이 이 닦는 거 아침에 잘 안 .. 2023. 10. 11. 마리 퀴리 피에르 퀴리를 만나다. 마리퀴리가 피에르 퀴리를 만나기까지 어려웠던 어린 시절 마냐는 조국 폴란드가 러시아에 주권을 빼앗겨 지배를 받고 있던 시기인 1867년 스콜로도프스키 부부의 다섯 아이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러시아인들의 명령에 따라야 했기에 학교에서도 폴란드어는 금지되고 러시아로 공부해야 하던 시기였다. 마냐의 아버지 스클로도프스키는 중학교 선생님었다. 자신의 학생이 치룬 시험지에 폴란드어가 부분부분 쓰여 있는 것을 폴란드어를 쓰지 못하도록 훈계하지 않았다고 직무를 게을리한 죄(?)를 물어 맡고 있던 직책에서 해임되고 봉급도 줄어 들었다. 마냐의 가족은 살길이 막막해졌기에 병들어 몸이 아팠던 마냐의 엄마도 팔을 걷어부치고 하숙을 쳐 생업에 뛰어들었다. 하숙을 하던 학생이 장티푸스에 걸렸고 엄마와 두 언니 조샤와 브로냐에.. 2023. 10. 10. 아침 육아 옷입히기 일하는 엄마에겐 정말 스트레쓰 엄마가 일을 하는데 아침에 다 챙기려면 정말 힘들다 순서대로 다 할려고 하면 정말 아침이 지옥이다. 중요한 순서먼저 하는거다. 옷 입고 나가야 되는데 나중에 시간 모자를 수 있으니 세수는 안 해도 되지 않나. 밥은 먹다가 중간에 그만 둬도 되고 좋아하는 간식 챙겨 차에 태우든지 한다. 선생님한테 "옷 넣고 옷좀 입혀주세요." 해도 된다. 이 방법이 좋다는 게 아니라 그 엄마의 융통성 문제해결 능력이다 아침육아 팁 포함 된 원본 영상 2023. 10. 9. 엄마가 씻으 라고 하 는데도 이 안 닦는 아이 by 조선미 아이에게 이 닦자고 하면 토 나올 때까지 우는데. 아무리 칭찬해도 거부하고 계속 지시하고 이 상황이 반복된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를 데리고 목욕탕에 갔는데 아이가 이를 안 닦으라고 해도 안 닦는 아이에게 칫솔을 아이 손에 쥐어 주며 양치질을 하게 한다는 것이죠? 이건 아이의 부정적 행동입니다. -조선미- 아이의 부정적 행동 : 엄마가 하라고 했는데 안 하려고 하는 행동을 말한다. 이 안 닦을거라고 떼를 쓰거나 울거나 토하는 행동. 이러한 부정적 행동을 하고 있는데 다시 또 칫솔을 쥐어주면 또 부정적 행동을 한다. 아이에게는 계속 기회가 오는 것이 된다. 이런 기회가 오는 한 아이입장에서는 굉장히 재밌는 상황이다. 아이가 '나 이거 안 해' 이러면 새 종이를 갖다 주고. 또 '나 이거 안.. 2023. 10. 8. 김승호 회장의 출간 신간 새 책 사장학개론 中 칭찬과 비난을 대하는 태도 김승호 회장의 2023년 출간 책. 사장학개론. 이번에 출간된 김승호 저자님의 책 사장학개론은 마치 개론? 개념서?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론서 같은 느낌. 그래서 책을 덮고 싶었다. 그러나. 어떤 책이든 배울 게 있다. 이 책은 특히나 배울 게 너무 많아서 피하고 싶어하는 나의 무의식이 기루하다는 재미없다는 읽기 힘들다는 여러 반응을 만들어가며 지레 멀리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산 돈도 있고 독서모임에서 추천해 준 책이니만큼 펼쳐라도 보자면서 책을 열었다. 내 수준이나 상황에 맞는 내용을 하나라도 찾아보기로. 페이지를 넘기며 눈에 들어오는 글귀들이라도 잡아 보기로. 하고. 그 중 사장학개론 2장의 23챕터의 내용을 기록한다.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비난에 자기 스스로에게 상처주지 않고.. 2023. 10. 7. 아이가 말을 안 듣는 이유 by 조선미 부모의 권위 Q ) 아이가 말을 안 들을 때 엄마의 입장에서 부모 권위가 없어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마음읽기 주의점 조선미 클릭 마음 읽기 조선미요즘은 선생님들이 교실을 이끌어나가기가 너무 어려워졌다는 이야기들이 많다. 최근 초등 1학년 교실에서 한 두 명꼴로 이런 일이 있다. 미술 시간에 '난 이거 그리고 싶지 않아요' 하면서 찢어ibiliebook.tistory.com 부모의 권위 아이에게 넘어갔다면 빨리 가져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가 그 집의 왕이 될 수 있다. 권위가 무너진 것이 맞다. 아이가 말을 안 듣는 이유는 이미 권위가 없기 때문이다. 아이는 '엄마가 나에게 뭘 시킬 수 있는 사람이 아니야.' 이렇게 된 거다. 권위라는 것이 어떤 위치에서 오는 힘인데 엄마라는 위.. 2023. 10. 6.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54 다음 반응형